맥을 사용하다보면 윈도우를 사용해야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공공기관 홈페이지나, 은행사이트 등은 아직도 윈도우가 편리합니다.

그리고 맥에서 작업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작업물을 함께 작업하는 윈도우 사용자에게 배포한 경우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더라구요.
이미지가 잘린다거나, 폰트를 임베딩하지 못하거나, 용량이 터무니 없이 많거나...
그렇다고 부트캠프를 이용해 맥을 설치하면 오류도 많고, 키배열 맵핑, 전체적인 속도도 답답하고~~

그래서 포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저는 오피스의 오류를 체크해야하는 경우와 공공기관 홈페이지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서 윈도우를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부트캠프 없이....

외국 사용자가 알려준 방법을 토대로 필요하지 않은 작업은 삭제하고, 단계를 알려드릴께요.

[ 윈도우 멀티 부팅 단계 소개 ]
0단계 : 15기가 정도의 USB 메모리 1개를 준비합니다.
1단계 : 디스크유틸리티 앱을 통해 윈도우를 설치할 파티션을 만듭니다.
2단계 : GPT fdisk를 설치하여 윈도우 설치가 가능하도록 합니다.
3단계 : Boot Camp 지원 앱을 이용해 USB부팅 디스크와 드라이버 설치 메모리를 만듭니다.
4단계 : 윈도우 설치를 합니다.
5단계 : 부트캠프 폴더에서 윈도우 드라이버를 설치합니다.
6단계 : 윈도우를 사용자에게 맞게 셋팅합니다.

 

[ 참조한 외국 사이트 ] 
http://fgimian.github.io/blog/2016/03/12/installing-windows-10-on-a-mac-without-bootcamp/

 

Installing Windows 10 on a Mac without Bootcamp

Installing Windows on a Mac should be a piece of cake with Bootcamp, but that rarely is the case. In fact, I would personally say that Boot Camp Assistant is one of the worst apps that comes with OS X and unlike the rest, it doesn’t work seamlessly. A few

fgimian.github.io

 

[ 1단계 : 디스크유틸리티 앱을 통해 윈도우를 설치할 파티션 만들기 ]
파티션을 만들때 적어도 70GB를 추천드려요. 윈도우 설치하면 30 ~40GB는 윈도우 시스템 자체가 차지합니다.
파티션 정보에서
이름은 설치시 확인할 수 있는 이름으로 해주세요. 저는 WINDOWS라고 했었는데, Boot Camp 설치파일을 이용해 설치하니까 이름이 자동으로 변경 되었어요.

포멧은 MS DOS(FAT)으로 해주셔야 설치가되요.
스크린 샷은 NTFS로 되어 있는데 설치할 때 부트캠프에서 자동으로 변경이 되었네요

디스크유틸리티를 이용해 파티션 만들기

 

[ 2단계 : GPT fdisk 패키지 설치 ]
아래 링크에서 gdisk-1.0.4.pkg  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합니다.
설치 후 터미널을 열어서 작업을 해줘야 한다고 하는데, 저는 터미널을 열지않고 진행했는데 무사히 설치가 되었어요.

https://sourceforge.net/projects/gptfdisk/files/gptfdisk/

 

GPT fdisk - Browse /gptfdisk at SourceForge.net

×

sourceforge.net

 

[ 3단계 : 부트캠프 앱으로 윈도우 부팅 USB 및 드라이버 만들기 ]
Boot Camp 지원 앱에서
WIndows 10 이상의 설치 디스크 생성에 체크
하면 지원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도 함께 됩니다.

Windows 10 이상의 버전 설치는 체크 해제해야 해요.
체크하면 설치하는 과정까지 바로 진행됩니다.
한 20분 정도 소요됩니다.

부트캠프 앱으로 만들기

 

[ 4단계 : 윈도우 설치를 합니다 ]
맥에 삽입되어 있는 USB 장치는 모두 제거한 후 방금 만든 USB만 꽂아둔 채로 재시작을 합니다.
재시작 시 꼭 Option 버튼을 꾹 누르고 계셔야 멀티 부팅이 가능합니다.

재시작 되면 맥용 드라이브랑 efi-boot라는 드라이브가 표시됩니다.
efi-boot를 선택하여 기다리면 윈도우 로고가 1~2분 멈춘듯 표시됩니다.

드라이브를 선택할 때 조금전에 만든 WINDOWS 드라이브를 선택하면 설치할 수 없다고 표시가 되어 있는데, 해당 드라이브를 삭제 > 새로만들기 과정을 거쳐 윈도우 설치할 드라이브를 만듭니다.

이후 윈도우 설치 가이드를 따라 진행하시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 5단계 : 장치 드라이버 설치 ]
윈도우 설치가 모두 끝나면 USB 드라이브를 선택하여 Bootcamp 폴더에 있는 실행 파일을 실행하면, 디스플레이, 사운드, 인터넷 연결장비등을 활성화 시켜줍니다.

[ 6단계 : 사용자에게 맞게 윈도우 세팅 ]
윈도우를 재부팅하고 나서 필요한 드라이버와 앱등을 추가로 설치하면 됩니다. 다만 윈도우로 재부팅하는 경우 그대로 재시작을 실행하시면 되는데, 맥으로 재부팅하길 원하시면 Option 버튼을 꾹 누르고 있으면 선택이 가능합니다.

이상 어려운 과정이 필요없이 윈도우10 멀티 부팅 성공과정을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