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엔 집에서 노트북을 많이 사용하시죠?
노트북으로 사용하다보면 프린트 할 때 마다 프린터에 가서 USB 꼽고 프린터 설정하고 인쇄할라치면 너무 번거롭죠~~
그렇다고 잘쓰고 있는 일반 USB 프린터를 버리고 무선 프린터를 사기는 아깝고~~
그래서 우리집 와이파이만 연결되어 있다면 어디서든 프린트가 가능하게 해보려고 시도 해봤습니다.

성공하는데 일주일을 해맷는데요.

와이파이(AP)의 서버 설정(포트포워딩) 이 핵심이었어요.


무선으로 프린터 사용이 가능한 방법으로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 클라우드 프린터 : 인터넷 필요하고 가능한 장비가 별도 있음
- 무선 프린터 : 프린터에 내장된 무선 어댑터를 통해 공유기에 접속하여 무선 사용
- 프린터 서버 기능이 포함된 공유기 : 6~10만원대
- USB 일반 프린터 서버 : 기존에 사용하던 일반 프린터(패러럴 포트 프린터도 동일)에 프린터 서버 연결하여 무선 사용
- 네트워크 프린터 공유 : 유선으로 연결된 PC에 로컬로 연결된 프린터를 공유하는 방법으로 PC가 Off되어 있으면 다른 컴퓨터에서 인쇄가 불가능




# DP-G321 무선 프린터 서버

저한테는 오래된 무선 프린터 서버가 있었는데 어디서 생겼는지는 몰라도 제품이 있었어요.
그래서 이것을 활용해 보았어요.
너무 오래되서 설정이나 설정방법 팁들이 거의 전무하다 보시면 되고, 지원되는 소프트웨어 유틸들도 모두 윈도우 XP 지원에 머무르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드라이버도 오래되었고, 드라이버 CD도 없어서 혹시 필요하나 걱정했었는데~ 굳이 필요 없더라구요~~



#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하는 4~6만원대 USB 무선 프린터 서버

알리익스프레스에 가보면 프린터 서버가 4~6만원대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제가 직접 사용해 보지는 않았는데, 프린터 서버 원리를 이해하니
그제품을 사용해도 충분히 프린터 서버 구축이 가능할 것 같아요.
대신 알리익스프레스는 도착하려면 2주 ~ 4주 정도는 참고 기다리셔야 해요.

1달을 참기 힘드시다면 국내 오픈마켓에서 구매하시면 내일 바로 설치하여 사용 할 수도 있어요.
최근에 나온 제품이라 자동으로 포트포워딩이나 내부 IP 등을 찾아주고, 프린터 서버도 자동으로 설치가 되는 것 같더라구요,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할 것 같아요~~

랜스타 ZOT PU...




#우리집 환경

인터넷은 LGU+ 망을 사용하고 있고, 공유기도 유플러스에서 제공하는 ~~~~~ 제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노트북은 윈도우와 맥, 아이맥 이렇게 이렇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프린터 서버 설정은 윈도우10에서 모두 진행 했는데, 맥에서도 가능할 것 같네요.
다만 중요한 것은 적어도 프린터 서버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유선으로 연결 후 가능 했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무선으로도 설정이 가능할 것도 같습니다.




# 네트워크 구성

인터넷 회선 - 모뎀 - 공유기(라우터, AP)


- 유선 연결 (DP-G321 )
- 유선 연결 노트북 또는 PC (windows 환경)
- 무선 노트북 또는 (OS 상관 없음)


                                                          



#DP-G321 기본 설정

윈도우 10 기준으로 설명드릴께요. (화면은 DP-G321 메뉴얼 화면을 이용할 께요...)
공유기에 유선으로 연결된 노트북 > 윈도우 설정 (시작 메뉴)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어댑터 옵션 변경 > 유선 연결된 LAN 어댑터의아이콘 더블클릭
> 속성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 더블 클릭 > 속성


다음 IP 주소 사용 선택
192.168.0.28 고정 IP 입력 후 완료
인터넷 브라우저로 http://192.168.0.10 접속 (안될 경우 프린터 서버 재부팅)


설정화면에서 Home > system > 맥주소, IP주소, Printer name  카피
Printer name은 USB를 1번에 꽂으면 U1, 2번에 꽂으면 U2, LPT에 꽂으면 P3 을 카피하면 되요.


Configuration > Wireless > Site Survey 버튼 클릭 후
보여지는 AP List에서 우리집 Wifi를 선택 > WEP 설정 화면에서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고 OK 후 완료 





# 공유기(WiFi, AP) 고정 IP 설정 - 포트포워딩

유플러스 기준
포트포워딩은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아요~


유플러스 공유기 설정화면 접속
http://192.168.123.1 > 공유기 선택 > http://192.168.123.31


공유기 하단에 적혀 있는 "관리자 웹 접속 암호" + Code 입력


상단 메뉴 > 상태 정보

 DHCP 할당 정보


앞에서 카피한 Printer name(맥주소=하드웨어 주소로 확인 해도 됨)의 자동 할당된 IP 주소 카피
DHCP 고정 할당 탭 > 프린트 서버 맥주소와 자동 할당된 IP 주소를 입력하여 고정으로 변경


상단 메뉴 > 네트워크 설정 > NAT 설정 > 추가 > 포트 포워딩 추가
서비스 포트 : 8080 - 8080 + 포트 선택
프로토콜 : TCP
내부 IP 주소 : 위에서 카피한 IP 주소 입력
내부 포트  : 8080

설정 적용

무선으로 연결된 노트북에서 위에서 카피한 IP 주소를 인터넷 브라우저에 입력 > 프린터 서버 설정 UI가 보인다면 90% 완료





# 윈도우 프린터 추가 및 인쇄

윈도우 10 기준
설정 > 장치 > 프린터 및 스캐너

프린터 또는 스캐너 추가

"원하는 프린터가 목록에 없습니다." 선택

다른 옵션으로 프린터 찾기 > TCP/IP 주소 또는 호스트 이름으로 프린터 추가 선택

프린터 호스트 이름 또는 IP 주소 입력 > 포트포워딩 시 카피한 IP 주소 입력 (192.168.XXX.XXX)

포트 정보가 추가로 필요합니다 > 사용자 지정 선택 > 설정 > 

표준 TCP/IP 포트 모니터 구성 > 프로토콜 > LPR 선택

LPR 설정 > 큐 이름 : 포트포워딩에서  카피한 Print name 입력

프린터 드라이버 설치 > 해당 프린터의 드라이버를 찾아 설치

기존 드라이버가 깔려 있을 경우에만
어떤 버전의 드라이버를 사용 하시겠습니까? > 권장 선택

프린터 이름 입력 > 그대로 다음 버튼 선택 또는 원하는 이름으로 수정

프린터 공유 > 공유 안 함 선택

테스트 페이지 인쇄 > 마침

테스트 페이지 인쇄가 제대로 된다면 이제부터 무선으로 프린트가 가능합니다.





# 맥 무선 프린터 추가 및 인쇄

설정 > 프린터 및 스캐너 > + (추가) 버튼 > 상단 IP 탭

 주소 : 포트포워딩 작업 시 카피한 IP 주소 입력 예) 192.168.XXX.XXX

프로토콜 : LPD( Line Printer Daemon)
대기열 : Printer name ( 포트포워딩 작업 시 카피한...)
사용 : 일반 PostScript 프린터 or 소프트웨어 선택 > 해당 프린터 드라이버

추가 클릭

설치 완료 후 프린터 에서 해당 프린터를 더블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설정 > 상단의 유틸리티 탭 > 테스트 페이지 프린트하면 인쇄가 됩니다.





# 맥으로 설정하기 팁

맥으로 유선 연결 후 프린터 서버 설정 > 공유기 접속 > 포트포워딩 설정 > 프린터 추가 하면 설정이 완료 될 것 같아요.
안해 봤는데 한번 해보시면 될 것 같아요.





# 무선으로 연결한 노트북에서 설정하기 팁

최근의 공유기는 공유기에 연결된 장비의 IP를 자동으로 설정(유동 DHCP) 해줍니다.
프린터 서버의 MAC 주소를 장비 하단에서 확인합니다.


프린터 서버를 공유기에 유선으로 연결 후
공유기에 접속하여 포트포워딩 설치 과정을 거친 후 해당 IP로 프린터 서버 설정에 접속 (웹 브라우저)

프린터 서버 설정 과정을 거친 후 프린터를 추가하면 프린트 서버 구성이 완료 될 것 같아요.
이것도 해보지는 않았는데 해보시면 가능할 것 같아요.


정식 메뉴얼을 참고하시려면 

DP-G321_C2_QIG_2.00.pdf

http://files.dlink.com.au/products/DP-G321/REV_C/QuickInstallGuide/DP-G321_C2_QIG_2.00.pdf


네트워크를 잘 모르는 기획자가 겪어본 일주일간 고생한 프린터 서버 구축이 끝났습니다.

감사합니다.